반응형

node.js + express + mysql 을 사용한


node.js CRUD 예제 소스 입니다.


소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 작성 예정


https://github.com/nahosung/node_crud

반응형

'JavaScript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mysql 연결 예제 (node-mysql)  (0) 2016.12.26
node 자동 재실행 supervisor  (0) 2016.12.21
express.js 설치  (0) 2016.12.21
node js 설치  (0) 2016.12.21
반응형

aws로 instance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경우, 


고정 ip를 지정하지 않으면 instance를 재시작했을경우 ip가 변경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 ip를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 *aws free tier(1년 무료) 의 경우 1개의 고정 ip를 무료로 제공을 합니다. 

  단, 고정 ip를 반드시 instance에 연결을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요금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고정 ip를 지정한 instance는 정지된 상태가 아닌 실행중인 상태이어야 하며, 정지 상태일 경우에도 요금이 부과됩니다. )


첫번째로 aws에서 자신의 콘솔창으로 접속을합니다. 그리고 ec2를 선택하여 좌측 메뉴에서 Elastic IPs를 선택합니다.



Allocate new address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화면(혹은 팝업화면)에서 allocate를 클릭하여 고정 ip를 할당받습니다.


(ip를 하나도 할당받지 않은 경우 화면중앙에 나타나며, 좌측에 있는 버튼과 같으니 아무거나 누르면됩니다.)



Elastic IPs 화면에 새로운 고정 ip가 할당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정ip를 instance에 연결해야 합니다. 


Elastic IP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Associate address 버튼을 클릭합니다.


Associate address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Instance를 지정하고 Associate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Insatance 부분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선택가능한 Instance가 나오며 선택을 하면됩니다.)




위의 과정을 통해 고정ip를 instance에 할당 하였으며, 해당 ip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Instance로 들어가서 클릭하고 하단의 정보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위에서 지정한 고정 ip로 할당된것이 확인 가능 합니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우분투 java 설치 및 tomcat 설치  (0) 2017.03.07
aws free tier 종료일  (1) 2017.02.08
aws 리눅스 vsftp 환경 설정  (0) 2016.07.29
aws Unable to locate the model you have specified 에러 발생  (1) 2016.07.20
aws 인스턴스 삭제  (0) 2016.07.20
반응형
간단하게 스프링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법입니다. 

1. pom.xml 추가
첫번째로 pom.xml 에 아래와 같이 depency를 추가한다. 
(따로 최신 버전을 찾지 않아도 상관없을듯 합니다.)

 


2. servlet-context.xml 추가
두번째로 servlet-context.xml 에 아래와 같이 baen을 추가합니다.
( 아래의 'beans:bean' 이런식으로 있는 부분은 자신의 파일에 맞게 수정하시면됩니다. )



3. jsp 파일 폼 추가

아래와 같이 간단한 jsp 파일을 작성합니다.


스프링 폼 태그를 사용 했으며, 폼태그에 enctype="multipart/form-data" 을 꼭 넣어야 파일 전송이 가능합니다.




4. Controller 파일 업로드

마지막으로 jsp에서 전송된 파일을 받아 controller에서 파일 업로드를 합니다. 

소스상으로 간단하며, @RequestParam("uploadFile") MultipartFile file 이부분이 jsp에서 받은 파일을 담는 변수입니다.

file.getOriginalFilename()으로 해당 파일의 이름으로 지정된 경로로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실제 파일을 저장할때는 원본 파일명과 다른 유니크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파일을 저장한다.)




해당 예제에서는 단순하게 파일을 업로드 하기만 하지만, 파일 업로드시 파일에 정보를 DB에 넣기도 해야하니 FileVO를 하나 생성하고(Map사용 무관),

Controller에서 파일 명을 받아온 방식으로 file.get** 으로 필요한 정보로 가공하여 저장하면됩니다. 

(여기서는 DB에 넣는 Service, dao.. 부분은 생략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