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에서는 1년동안 free tier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정확하게 시작한 날로부터 365일인지 또는 시작한 그달까지인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


제목에서 종료일이라 적었지만, 사실 프리티어로써 무료가 종료되는 것이며, 그 이후 사용하는 만큼 요금이 부과 됩니다. 


결론 부터 얘기하면, aws에서 공식적으로 free tier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알수 없습니다.

( 문의를 하면 알수있을지 모르겠으나, 외국 질문에서 문의해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는 글을 본것 같습니다. )


그리고 free tier 기간이 종료된지 모르고, 그냥 놔둔상태에서 과금이 되는 경우 aws에 문의하면 안내도된다는 글을 봤습니다만,

그런 상황까지 안가려고 검색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제일 정확한 방법은 aws에 가입한 계정의 이메일에서 받은 메일을 확인하는 것 입니다. 

aws에서 가입 축하 메일이 온날을 시작으로 1년을 보면 될 것같습니다.


두번째는 aws My Billing Dashborad 메뉴에서 청구서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청구서에서 가장 오래된 날짜를 보면, 바로 aws를 시작한 달 입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정확한 날짜까지는 알수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ubuntu 14.04 에서 apache2 위에 php 코드이그나이터 프로젝트를 올렸는데, 


index.php가 없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기본적으로 코드이그나이터 쪽 셋팅은 한 상태이며,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다. 

http://nahosung.tistory.com/23 - 코드이그나이터 셋팅 한 글 )


codeigniter 에서 설정하는 부분은 위에 링크해놓은 글에서 보고 설정하면 됩니다.


첫번째로 apache2의 mod_rewrite 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a2enmod rewrite


그리고 apache를 재실행 합니다.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 다른 ubuntu에서 설정할때는 이것만으로 설정이 끝났습니다. )


두번째로 000-default.conf 파일을 열어 수정 하도록 합니다.

( vi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


다른 글들을 검색해 봤을때 아래와 같은 내용이 존재하며, 


<Directory "/var/www/html">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일부분 내용이며, 더 길게 내용이 있을수도있습니다. 저부분만 확인하면됩니다. )


AllowOverride None -> AllowOverride All


None을 All로 수정합니다.


저는 다른 글들과 다르게 저러한 내용이 없었기 때문에, 


DocumentRoot /var/www/html  부분 아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넣고 저장했습니다.


<Directory "/var/www/html"> AllowOverride All </Directory>


그리고 아파치를 재시작하니 index.php가 사라진 것이 적용 됐습니다.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반응형
반응형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서 mssql를 사용하려고 한다.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기본적으로 mssql을 제외한 db접속을 사용)


여기서는 eGovFrame 3.5.1 버전이며, eGovFrame Web Project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프로젝트 생성시, Generate Example을 체크하고 생성한 경우를 얘기하며, sample 소스를 예로 한다.

(eGovFrame Template Project를 mssql로 사용하려면, 이미 생성되어있는 모든 sql을 바꿔줘야한다.)


첫번째로 maven을 사용하여, pom.xml에 jtds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버전의 변동은 없을듯 하니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그리고 pom.xml에서 commons-dbcp 부분이 주석처리 된것을 해제한다.

만약에 없을 경우 아래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추가 하면된다.



두번째로 context-datasource.xml 파일에 mssql 연결 설정을 추가합니다.

(src/main/resources/egovframework/spring/context-datasource.xml)

기본적으로 hsql 설정으로 되어있는데 그부분은 주석처리하고 자신의 계정에 맞게 mssql 설정을 추가합니다.



(참고로, src/main/resources/db/ 경로 아래에 sampledb.sql 문이 존재하여, mssql에 사용하기위해 변경이 조금 필요하다.

 아마 sql문을 보면 금방 고칠 수 있을 것이다. )


위로써 설정은 끝났으며, 실제 mssql 쿼리를 수정하면된다.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는 기본적으로 ibatis를 사용하며, 여기서는 src/main/resources/egovframework/sqlmap/example/sample/ 경로 아래에

EgovSample_Smaple_SQL.xml 파일 입니다.


다른 부분은 변경할 부분이 없으나, mssql에서는 limit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sampleDAO.selectSampleList 부분만 수정이 필요합니다.




수정을 완료한 후 서버를 실행하여 보면, mssql이 연동된 게시판이 실행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