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우분투에 자바와 톰캣을 설치하고 그위에 jsp 프로젝트를 올리려고 합니다.


1. java 설치


aws 우분투에는 java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 java -version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만약에 자바가 설치되어 있다면, 자바 설치 다음인 톰캣 설치부터 보면 됩니다.


# apt-get install openjdk-7-jre-headless


(java8 설치시 # apt-get install openjdk-8-jre-headless)


명령어를 통해서 java 설치를 실행합니다.

( 권한이 없어서 설치가 안되는 경우 # sudo su 명령어를 통해 root로 접속하여 설치 합니다. )


설치가 완료된 후 


# java -version 


명령어를 통해 java 설치를 확인합니다.


2. tomcat 설치


# apt-get install tomcat7


위의 명령어를 통해 톰캣 설치를 합니다.

(tomcat8 설치시 # apt-get install tomcat8)


톰캣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톰캣이 실행이 됩니다. 


http://서버ip:8080 


포트로 접속을 해보면, 기본 톰캣 index.html 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볼수있다.


하지만 여기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톰캣은 설치시 기본적으로 8080포트번호를 사용하는데,

aws 우분투 서버에 8080 포트 번호를 열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aws EC2 Management Console에 접속하여 

Security Groups의 Inbound 규칙에 8080 포트 번호를 추가해야한다.

(이부분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겠으면, aws security groups 로 검색을 해보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이제다시 http://서버ip:8080 로 접속을 하면, tomcat의 기본 html  파일이 뜨는 것이 확인 가능하다.


tomcat의 기본 경로는 /var/lib/tomcat7/webapps/ROOT 아래이며, 

지금 나오는 파일은 index.html 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젝트의 경로를 변경하지 않을겨우 해당 폴더 아래에 jsp프로젝트를 이동시키면 된다.


톰캣의 포트 번호 및 프로젝트 경로 설정은 /etc/tomcat7/server.xml 파일에서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변경을 한 후에는 service tomcat7 restart 명령어를 통해 톰캣을 재실행하도록 합니다.

(# vi /etc/tomcat7/server.xml 명령어를 통해 확인가능)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free tier 종료일  (1) 2017.02.08
aws instance 고정 ip 적용 (Elastic IP)  (0) 2017.01.23
aws 리눅스 vsftp 환경 설정  (0) 2016.07.29
aws Unable to locate the model you have specified 에러 발생  (1) 2016.07.20
aws 인스턴스 삭제  (0) 2016.07.20
반응형

리눅스에서 압축 파일을 풀기 위해서는 unzip 을 통해서 압축을 풀수있습니다.


unzip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 apt-get install unzip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압축을 해제 하는 방법은 해당 war파일이 있는 경로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unzip test.war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war파일이 있는 경로에 압축이 풀어지는데,


다른 경로에 압축을 풀고 싶다면,


# unzip test.war -d /var/www/html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var/www/html이란 폴더 아래에 압축이 해제가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서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해주는 크론탭이라는 것 있습니다.


주로 쉘 스크립트(.sh) 파일을 등록된 시간에 실행하도록 하고있습니다.

 

아래의 세가지 명령어 


- 크론탭 리스트를 확인

( 주의! 현재 사용자의 크론탭 리스트만 보여준다.  )


crontab -l 


*다른 사용자 크론탭 리스트


crontab -l -u user



- 크론탭 등록 및 수정 


crontab -e


-크론탭 모두 삭제(모두 삭제 이므로 주의)


crontab -r


위의 명령어들을 통해 크론탭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합니다.


이제 crontab -e 명령어를 실행하여 크론탭을 작성하도록 합니다.


* * * * * /usr/local/test.sh


위와 같이 크론탭을 작성해주면, 매 분마다 /usr/local/test.sh를 실행 하는 것 입니다.


실제로 매 분마다 실행을 해주는 프로그램 보다는 일정 시간 혹은 날짜를 간격으로 실행을 하기 때문에, 

5개의 *이 있는 각각의 위치에 들어가는 값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첫번째 * 자리에는 0 ~ 59 : 분 

두번째 * 자리에는 0 ~ 23 : 시간

세번째 * 자리에는 1 ~ 31 : 일

네번째 * 자리에는 1 ~ 12 : 월

다섯째 * 자리에는 0 ~ 6   : 요일 ( 0 : 일요일 )

( *는 매분, 매시간, 매일 등.... )


ex)

30 * * * * /usr/local/test.sh  //매시간 30분마다 실행

0 18 * * 0 /usr/local/test.sh  //매주 일요일 18시에 실행

0 18 * * 0,4 /usr/local/test.sh  //매주 일요일,목요일 18시에 실행


저는 쉘스크립트가 아닌 웹서비스를 통해 xml파싱을 해야 하기 때문에, lynx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쉘스크립트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되지 않는 내용입니다.


( lynx 가 궁금하신 분들은 ' lynx www.daum.net ' 를 입력해보시기 바랍니다. )

( lynx가 없는 경우 ' yum intall lynx ' 명령어를 통해 다운 가능합니다.)


30 * * * * lynx -dump http://127.0.0.1/api/xmlParsing


위의 크론탭은 매시간 30분마다 해당 url을 접속하는 크론탭입니다.


아래의 명령어들을 통하여 크론탭 실행이 가능합니다.


/etc/init.d/crond start

/etc/init.d/crond stop

/etc/init.d/crond restart


혹은


sudo service cron start

sudo service cron stop

sudo service cron restart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디렉토리 리스팅 제한  (0) 2017.10.18
리눅스 우분투 zip war 압축 풀기  (0) 2017.03.07
리눅스 우분투 vsftpd 설치 및 설정  (0) 2016.07.29
리눅스 우분투 svn 설치  (0) 2016.07.26
리눅스 svn E:220001 에러  (0) 2016.07.26

+ Recent posts